컬처인: 갓 쓰고, 노리개 달고...핼러윈에도 ‘케데헌’ 열풍 분다!

Halloween Pumpkins

Night shot of illuminated pumpkins in front of a house Source: Moment RF / Martin Deja/Getty Images

최근 조사에서, 올해 핼러윈 인기 코스튬 상위 5위는 모두 K팝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 캐릭터가 차지했습니다. '케데헌' 코스튬 열풍은 호주의 핼러윈 시즌으로까지 번지고 있습니다.


Key Points
  • 미국, 핼러윈 인기 코스튬 상위 5위까지 모두 '케이팝 데몬 헌터스' 캐릭터
  • 한국 민화 '작호도'에서 영감을 받은 '케데헌' 호랑이 캐릭터 '더피'도 8위
  • '오징어 게임'처럼 K-콘텐츠 코스튬 트렌드는 호주 핼러윈의 익숙한 풍경
  • 호주인 21% 핼러윈 소비 참여... 트리트, 코스튬, 데코레이션에 활발한 지출
10월 말이 다가오면, 마켓들은 핼러윈 디스플레이로 소비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습니다. "Trick or Treat!" 아이들의 외침이 들리는 10월 31일은 이제 어른들도 함께 즐기는 축제가 됐습니다. 호주 곳곳이 스푸키(spooky)한 장식과 핼러윈 분위기로 물듭니다.

최근 미국에서 조사된 올해 핼러윈 인기 코스튬 순위에서는 K팝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 캐릭터가 1위부터 5위까지 상위권을 휩쓸었습니다.

1위는 극 중 K팝 걸그룹이자 퇴마사인 ‘헌트릭스(HUNTR/X)’의 리더 루미 스타일로, 무릎까지 땋은 보라색 머리에 댕기를 달고, 노란색 크롭 재킷에는 단청 무늬를, 청반바지에는 노리개 장식을 더한 한국적 디테일이 특징입니다.

2위와 3위는 역시 ‘헌트릭스’ 멤버인 조이와 미라가, 4위에는 검은 갓을 쓰고 인간의 영혼을 노리는 악령인 5인조 보이그룹 ‘사자보이즈’의 리더 진우가, 5위는 민트색 머리의 메인 래퍼 베이비가 이름을 올렸습니다. 한국 민화 ‘작호도’에서 영감을 받은 호랑이 ‘더피’도 8위를 차지했습니다.
SONY-pictures-animation-capture.jpg
SONY pictures animation capture
이 같은 ‘케데헌’ 코스튬 열풍은 호주에도 빠르게 번지고 있습니다. 2021년 ‘오징어 게임’ 복장이 호주 핼러윈 시즌을 휩쓸었던 것처럼, K-콘텐츠 중심의 코스튬은 이미 호주 핼러윈의 익숙한 풍경이 됐습니다.

글로벌 플랫폼을 통해 콘텐츠가 실시간으로 확산되는 시대, 핼러윈 코스튬은 단순한 분장이 아니라 ‘문화의 언어’가 되고 있습니다.

핼러윈의 대표적 단어 ‘스푸키(spooky)’는 단순히 ‘무섭다’는 뜻이 아니라, 그 뿌리는 고대 켈트족의 샤윈 축제에 닿아 있습니다. 죽은 자의 영혼이 이승으로 돌아온다고 믿은 그날, 사람들은 악령을 피하려고 괴기한 분장을 하고 불을 피웠습니다.
케데헌.jpg
Character images of Huntrix, the girl group from K-Pop Demon Hunters
악령을 쫓는 전통에서 비롯된 호박등 Jack-o’-lantern은 핼러윈의 상징이 됐습니다.

호주에서도 10월이면 Coles, Woolworths 같은 마트와 지역 시장에 핼러윈 장식용 호박 코너가 등장합니다. 일부 농장에서는 직접 호박을 수확하는 체험 프로그램도 운영됩니다. 다만 봄기온이 오르는 시기라 너무 일찍 깎으면 금세 상하기 쉬워, 핼러윈 이틀 전쯤 조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호주 전역에서는 다채로운 핼러윈 이벤트가 열립니다. 시드니의 Ghost in the Rocks와 루나파크의 Hallowscream, 멜버른의 Luna Dark, 캔버라의 Horror Tropefest영화제, 퍼스의 Rooftop Movies, 브리즈번의 대규모 Halloween Hall 파티 등이 대표적입니다.

2024년 로이 모건 조사에 따르면, 호주인의 21%가 핼러윈을 기념했으며 1인당 평균 지출액은 93달러였습니다. 특히 35~59세의 자녀를 둔 부모 세대가 가장 활발하게 참여했습니다.

상단의 오디오를 재생하시면 뉴스를 들으실 수 있습니다.
호주 공영방송 SBS(Special Broadcasting Service) 한국어 프로그램의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팔로우하세요. 구글플레이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SBS Audio 앱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매일 방송되는 한국어 프로그램 전체 다시 듣기를 선택하시려면 이곳을 클릭하세요. SBS 한국어 프로그램 팟캐스트는 여기에서 찾으실 수 있습니다.

- 10월 말이 다가오면 마켓들은 핼러윈 디스플레이로 소비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습니다. 'trick-or-treating', 매년 10 월 31일은 아이들이 손꼽아 기다리는 바로 핼러윈 데이죠. 핼러윈은 본래 영미권에서 기괴한 유령 복장이나 괴물 분장을 하고 집집마다 다니면서 사탕과 초콜릿을 얻는 날이었는데요. 하지만 이제는 어른들도 함께 즐기는 축제가 됐습니다.

- 최근 미국에서 조사된 핼러윈 인기 복장 순위를 보면 K 팝 애니메이션, K 팝 데몬 헌터스의 캐릭터들이 상위권을 장악했다고 합니다. 이 같은 열풍, 호주에도 빠르게 전해지고 있다는 점 주목할 만한데요. 호주의 헬로윈 분위기를 살펴보겠습니다.

- 문화로 세상을 읽는 컬처인, 유화정 프로듀서 함께합니다. 안녕하십니까? 최근 미국에서는 넷플릭스 애니메이션이죠.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핼러윈 커스튬 순위를 장악했다고 하죠.

- 그렇습니다. 오는 31일 핼러윈데이를 앞두고 미국 전역은 케데헌 주인공 의상을 입은 이들로 가득 찰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미국 유에스 투데이 등 외신에 따르면 최근 구글 트렌드 자료를 기반으로 한 인기 코스튬 1위부터 5위까지가 모두 케데헌 주역 배우 스타일이 장악했다고 하는데요. 1위는 단연 케이팝 걸그룹 겸 퇴마사인 헌트릭스의 리더 루미 스타일이 차지했습니다.

- 실제로 어떤 모습들이 인기인가요? 단순히 캐릭터를 따라하는 수준을 넘어서 한국적인 요소들이 들어있는데요.

- 그렇습니다. 루미 스타일 코스튬은 상당히 디테일이 살아있습니다. 보라색 머리칼을 무릎까지 늘어뜨리고 딴 머리 끝에는 댕기를 달았습니다. 노란색 크롭 재킷에는 단청 무늬를 넣었고요. 청색 반바지에는 매듭 장식과 노리개 포인트로 한국적인 색채를 가미했습니다. 마지막으로 보라색 사인검을 들면 완벽한 루미 변신입니다.

- 화룡정점이네요. 보라색 사인검까지요. 그런데 노란색에 보라색, 핼러윈 코스튬이라기에는 너무 좀 화사한데요

- 2위와 3위 역시 ‘헌트릭스’ 멤버 조이와 미라가 차지했고요. 4위에는 인간의 영혼을 노리는 악령인 5인조 보이그룹 ‘사자보이즈’의 리더 진우가, 5위는 민트색 머리 스타일로 ‘소년미’를 풍기는 사자보이즈의 메인 래퍼 베이비가 이름을 올렸습니다.

- 이 외에도 한국 민화 ‘작호도’에서 영감을 받은 호랑이 ‘더피’가 8위에 오르는 등, 한국적 요소가 돋보이는 캐릭터들이 상위권을 장악했습니다.

- 이미 스피릿 핼러윈 사이트를 비롯한 각종 코스튬 코너는 온라인에서 품절 대란을 겪고 있다면서요?

- 그렇습니다. 미 최대 규모 핼러윈 전문 의상 회사인 ‘스피릿 핼러윈’ 사이트에선 ‘헌트릭스’ 멤버들의 의상이 현재 아이, 어른 할 것 없이 온라인에서 모두 품절됐습니다.

- USA투데이는 “케데헌의 인기는 미국 전역, 전 세대에 고루 퍼져 있다”면서 “구글 트렌드 핼러윈 부문 조사 결과 모든 대도시 지역에서 상위 5위까지 ‘케데헌’ 의상이 최소 하나 이상은 포함됐다”고 전했습니다. 또 미 NBC뉴스는 “핼러윈 데이뿐만 아니라 아이들 생일 등 기념일에도 ‘케데헌’ 테마 파티를 여는 것이 요즘 유행”이라고 전했습니다.

- 그렇다면 호주에서도 이런 캐릭터들이 인기를 끌 수 있을까요?

- 미국의 핼러윈 코스튬 트렌드는 호주에서도 상당히 빠르게 공유되고 있습니다. 시드니와 멜버른 등 주요 도시 소매점에서는 ‘미국 인기 핼러윈 캐릭터’ 코너를 전면적으로 홍보하고 있는데요. Spirit Halloween, Amazon, Etsy 등 해외 직구 사이트를 통한 코스튬 구매도 활발합니다.

- 사실 2021년 ‘오징어 게임’ 열풍 때 이미 그 영향이 증명된 바 있죠. 당시 호주에서도 핼러윈 시즌을 맞아 ‘456번 참가자 복장’이나 ‘영희 인형 의상’이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 맞아요. 특히 시드니 하버에 실제 크기 영희 인형이 설치된 이벤트가 크게 화제를 모았었죠.

- 그렇습니다. 2021년 핼러윈을 맞아 넷플릭스 호주 법인이 시드니 하버에 거대한 '오징어 게임'의 영희 인형을 설치했는데요. 하버브리지와 오페라하우스 전망을 배경으로 10월 29일부터 11월 1일까지 운영됐습니다.

- 이 행사는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게임을 체험할 수 있도록 기획돼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죠. 이처럼 K콘텐츠 중심의 코스튬 트렌드는 이미 호주에서도 익숙한 풍경이 됐습니다. 특히 올해는 호주에서도 케데헌 인기가 상당해서요. 올해 핼러윈 데이 당일에는 케데헌 코스튬과 각 주인공 캐릭터로 분장한 아이들부터 성인까지 거리 곳곳에 쉽게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매년 호주 핼러윈 열기가 점점 더 뜨거워지고 있음을 피부로 느낍니다. 핼러윈 하면 우선 으스스한 분위기, 즉 ‘스푸키(spooky)’’한 매력도 여전히 중요한 포인트겠죠?

- 그렇습니다. ‘스푸키(spooky)’라는 말은 ‘유령, 으스스한, 섬뜩한’ 것을 의미하는데요. 네덜란드어 ‘spook’, ‘유령’에서 유래했습니다.

- 핼러윈의 기원은 고대 켈트족의 샤윈(Samhain) 축제에서 시작됐습니다.. 매년 10월 31일, 죽은 자의 영혼이 이승으로 돌아온다고 믿었기 때문이죠. 산 자와 죽은 자의 경계가 흐려지는 날이어서, 사람들은 악령을 피하려고 괴기한 분장을 하고 불을 피웠습니다.

- 이렇게 죽음과 초자연적 존재와 연결되면서, 핼러윈은 자연스럽게 ‘스푸키’한 축제가 된 겁니다.

- 그렇군요. 핼러윈 하면 또 ‘잭 오 랜턴’이라 불리는 오렌지 색 호박 등도 빼놓을 수 없는데요. 이것도 그런 전통과 관련이 있는 거겠네요.

- 호박 랜턴을 집 앞에 켜두는 것은 악령을 쫓기 위한 전통에서 비롯됐습니다. 고대 켈트족은 처음엔 ‘무(turnip)’를 썼는데, 미국으로 전해지면서 재배가 쉬운 ‘호박(pumpkin)’으로 바뀐 거죠. 오늘날엔 단순한 장식이지만, 스푸키 한 할로윈 분위기를 만드는 핵심 아이템이죠.

- 네, 그렇죠. 호주에서도 10월이 되면 Woolworths, Coles 같은 대형 마트와 지역 농산물 시장에서 카빙용 생호박을 쉽게 구입할 수 있죠?

- 네 퀸즐랜드 스태켈로스 농장처럼 직접 호박을 따는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곳도 있습니다. 다만 이맘때 호주는 봄으로 기온이 30도 가까이 오르기도 하죠.

- 그래서 집안 장식을 위해 너무 일찍 깎으면 호박이 빨리 상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호주 전문가들은 핼러윈 이틀 전쯤 구매해 준비하는 걸 추천합니다.

- 생호박을 구해서 눈· 코· 입 카빙을 하고 집 앞에 호박등을 켜두는 것만으로도 벌써 핼러윈 분위기가 나겠는데요. 그렇다면, 호주인들은 핼러윈에 얼마나 지출하고 있을까요?

- 호주는 핼러윈이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소비 이벤트 중 하나입니다. 2024년 로이 모건 조사 기준으로, 호주인의 21%가 핼러윈을 기념했고요. 1인당 평균 지출액은 93달러로 집계됐습니다.

- 지출 항목은 주로 트릭 오어 트리트 간식 즉 사탕이나 초콜릿 등 구매에 38%, 핼러윈 의상 구입에 37%, 다음으로 스푸키 한 분위기의 집 데코레이션에 32% 순이었는데요. 특히 청소년 자녀를 둔 35세에서 59세 사이의 부모 세대가 가장 활발하게 소비했습니다.

- 핼러윈을 즐길 때 신경 써야 할 부분도 있겠죠? 특히 아이들이나 가족과 함께할 때 말이죠.

- 맞습니다. 서호주 소비자 보호 기관 조사에 따르면, 온라인으로 구매한 핼러윈 제품의 절반 가까이가 안전 기준을 위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요 문제는 버튼 배터리인데요.

- 배터리는 어린이가 삼킬 경우 치명적입니다. 또 핼로윈 의상으로 불에 잘 타는 재질의 의류나, 성분 표시가 불분명한 화장품도 많았습니다.

- 사례도 있어 아주 특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따라서 어린이용 제품을 구매할 때는 반드시 안전인증 마크와 성분 표시 여부를 꼭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고요. 또 가능하면 온라인보다는 상대적으로 그 안전 기준을 잘 지키는 오프라인 매장, 즉 전통적인 상점을 이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특히 핼러윈에 빠질 수 없는 얼굴 페인팅 제품은 피부에 직접 닿는 만큼 더 세심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알레르기 유발 성분이나 인체용이 아닌 물감을 사용하는 사례도 있어 주의가 요구됩니다.

- 어린이용 제품을 구매할 때는 반드시 안전 인증 마크와 성분 표시 여부를 꼭 확인하는 필요하고요. 가능하다면 온라인보다, 상대적으로 안전 기준을 잘 지키는 오프라인 매장, 즉 전통적인 상점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그렇습니다. 안전하게 즐기는 핼러윈. 그게 진짜 스프키의 매력 아닐까 싶습니다.

- 호주 지역별로 어떤 헬로윈 이벤트들이 준비되고 있는지도 궁금한데요.

- 호주 전역에서 정말 다채로운 핼러윈 이벤트가 열립니다. 먼저 시드니에서는 The Rocks의 ‘Ghost in the Rocks’ 축제가 대표적입니다.

- 푸드 트럭과 팝업 바, 유령의 집 DJ 세트, 좀비 무음 파티까지 거리 전체가 핼러윈 무드로 물듭니다. 루나 파크 시드니도 빼놓을 수 없죠. 놀이공원이 거대한 미로와 유령의 집으로 변신하면서, 테마 음식과 음료까지 즐길 수 있는 ‘Hallowscream’이 돌아옵니다. 멜번 루나 파크 역시 ‘Luna Dark’로 바뀌어 11월 2일까지 무서운 놀이기구와 라이브 음악을 제공합니다.

- 캔버라와 퍼스에서는 각각 ‘호러 트로페스트 영화제’와 Rooftop Movies에서 핼러윈 테마 야외 상영이 펼쳐지고요. 애들레이드에서는 국제 학생들을 위한 ‘StudyAdelaide 핼러윈 댄스파티’가 열립니다. 브리즈번에서는 Warehouse에서 대규모 ‘Halloween Hall’ 파티가 밤새 이어진다고 합니다.

- 요즘은 소셜 미디어를 통한 참여형 이벤트도 활발한데요. 글로벌 문화 교류 덕분에 성인들도 코스튬 파티나 테마 데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 이제는 어린이들만의 축제가 아니라, 세대와 국경을 넘어 함께 즐기는 문화로 자리 잡은 것 같습니다. 문화로 세상을 읽는 컬처인, 오늘은 호주에서 즐기는 핼러윈. 무섭지만 즐겁게, 또 안전하게 즐기는 호주 핼러윈 문화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 유화정 프로듀서 수고 많으셨습니다.

- 고맙습니다.

END OF TRANSCRIPT

Share
Follow SBS Korean

Download our apps
SBS Audio
SBS On Demand

Listen to our podcasts
Independent news and stories connecting you to life in Australia and Korean-speaking Australians.
Ease into the English language and Australian culture. We make learning English convenient, fun and practical.
Get the latest with our exclusive in-language podcasts on your favourite podcast apps.

Watch on SBS
Korean News

Korean News

Watch it onDem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