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Points
- 호주 연 소득 13만 달러(세후) 가족: 첫째 아이에 연 1만 7000달러, 둘째부터 각각 1만 3000달러 지출
- 18년간 누적 금액: 첫째 약 30만 달러, 둘째부터 각각 약 23만 달러 지출
- 소득 낮을수록 전체 소득 대비 자녀 지출 비율 더 높아
호주의 현재 여성 1명당 출산율은 1.5명입니다. 호주인의 출산율은 그 어느 때보다 낮은 상태인데요. 사람들은 자녀를 낳고 키우는 데 드는 돈이 너무 많이 들기 때문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사실 아이를 키우는데, 어느 정도 돈이 드는지를 정확히 계산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아이 한 명을 키우는 비용은 옷이나 간식비와 같은 일반적인 비용뿐만 아니라 집의 크기, 자동차, 사립학교 입학 여부, 양육 방식, 부모가 일할 수 있는 기비용 등 다른 많은 부분에서도 영향받기 때문입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둘째 아이를 키우는 데는 첫째 아이를 키우는 것보다 돈이 덜 드는지? 큰 아이에 드는 비용이 어린아이에게 드는 비용보다 더 많이 드는지? 고소득층은 저소득층보다 자녀에게 더 많은 지출을 하는지?
셋째 아이를 키우기 위해서 또 다른 방이 필요한지? 아이를 더 낳으면 더 큰 차와 냉장고가 필요한지? 얼마를 써야 하는지? 옷과 장난감을 계속 아이들에게 물려줘도 될지? 여기에는 추가 비용이 더 들지 않는지?
이렇게 아이를 키우는 비용을 이야기할 때는 정말 많은 질문이 쏟아집니다.
오늘은 힐다 서베이를 중심으로 직접 비용에 초점을 맞춰가며 ‘아이가 있는 가정’이 ‘아이가 없는 가정’과 동일한 생활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돈이 필요한지를 추산해 보려고 합니다.
그렇다면 다시 이 질문으로 돌아가 보죠. 일반적으로 호주 가족들은 자녀에게 얼마를 지출하고 있을까요?
힐다 서베이의 자료에 따르면 호주인들은 평균적으로 가처분 소득의 약 13%를 첫째 아이에게 지출하고, 이후 아이 각각에게 추가로 10%를 지출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연봉으로 세후 약 13만 달러를 버는 가정을 예로 든다면 첫째 아이에게 연간 1만 7000달러를 지출하고, 둘째부터 1명 당 1만 3000달러가 추가되는 겁니다.
자녀가 성인이 되는 18년 동안의 누적 비용을 계산해 보면 첫째는 약 30만 달러가, 이후 자녀는 각각 약 23만 달러가 들게 됩니다.
여기에서 기억해야 할 사실은 소득이 낮은 가정일수록 전체 소득 대비 자녀 지출 비율이 더 높아진다는 겁니다.
그렇다면 한국의 경우는 어떨까요?
한국의 뉴스 채널 MBN은 한국의 부모들이 자녀를 만 18세까지 키우는 데 들이는 비용은 약 3억 6,500만 원이라고 보도했는데요. 이는 2023년 5월 기준입니다.
MBN은 도이체벨레가 인용한 인구·공공정책 연구기관과 인구연구소의 연구 내용을 소개하며 한국 부모들의 양육비는 주요 14개국 가운데 최고 수준이라고 밝혔는데요. 이어서 중국, 일본, 미국의 양육비가 매우 높게 나왔다고 말했습니다.
호주와 한국 모두 아이 1명을 키우는 데 많은 돈이 드는 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힐다 연구에서 아이를 키우는 비용이 2001년 이후 많이 증가했다는 명확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이는 곧 출산율 저하의 원인을 단순히 양육비 증가로만 몰아갈 수 없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부모가 경력을 쌓기 위해 출산을 늦추는 경우도 있으며, 아이를 갖지 않기로 선택하거나 삶을 다른 방식으로 구성하려는 생각 등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이런 말이 있습니다.
“아이 한 명을 온 동네가 함께 키운다”
소중한 아이를 키우는 데는 부모님뿐만 아니라 지역 사회 전체가 함께 책임을 져야 한다는 의미일 텐데요. 여성들이 계속해서 경력을 이어갈 수 있도록 노동시장의 구조적 제약을 완화하고, 보육료 지원을 확대하는 등 정부와 지역 사회의 관심이 더 커져야 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벤 필립스(Ben Phillips)교수(POLIS@ANU Centre for social policy research at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의 더 컨버세이션 기고문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상단의 오디오를 재생하시면 팟캐스트를 들으실 수 있습니다.
호주 공영방송 SBS(Special Broadcasting Service) 한국어 프로그램의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팔로우하세요. 구글플레이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SBS Audio 앱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