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쓸호지: 세상에서 가장 큰 단일 암석 ‘울룰루’ - 해양지질학자 김대철 박사가 들려주는 고대 호주 자연 이야기

ASHJ (1).png

해양지질학자 김대철 박사와 울루루 Source: AAP, SBS / LUKAS COCH

해양지질학자 김대철 박사와 함께하는 '알아두면 쓸데 있는 호주 자연 지식(알쓸호지)', 이번 시간에는 세상의 중심, 지구의 배꼽이라고 불리는 호주 울루루가 생겨난 과정을 알아봅니다.


Key Points
  • 울룰루는 높이 384m, 둘레 10km 이상에 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단일 암석
  • 5억 5천만 년 전 강과 산맥의 퇴적 작용 이후 지각 변동과 침식을 거쳐 오늘날의 거대한 바위로 형성
  • 인근에 위치한 카타추타 여러 개의 돔형 봉우리로 역암 지형
호주의 심장부라 불리는 울룰루(Uluru). 한때는 ‘에어즈락(Ayers Rock)’으로 불렸지만, 현재는 원주민 언어 이름인 울룰루로 불리며 세계인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해양 지질학자 김대철 박사는 '알아두면 쓸데 있는 호주 자연 지식(알쓸호지)를 통해 울룰루의 지질학적 비밀과 문화적 의미를 풀어냈습니다.

김 박사는 “울룰루를 처음 본 사람들은 해 질 무렵 붉게 변하는 색채에 매료되고, 누구나 경외감을 느낀다”라며 “높이가 384m, 둘레가 10km에 달하는 세계 최대의 단일 암석”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울룰루는 지질학적으로 ‘모놀리스(monolith)’라 불리며, 단일 암석 규모로는 지구에서 가장 큽니다.

형성 과정 또한 범상치 않습니다. 약 5억 5천만 년 전 산맥 사이를 흐르던 강이 수천만 년에 걸쳐 모래와 자갈을 쌓았고, 이후 강력한 지각 변동으로 퇴적층이 90도로 세워졌습니다. 수억 년 동안 바람과 침식이 이를 깎아내면서 현재의 거대한 붉은 편편한 바위의 모습을 갖춘 겁니다.

문화적 의미도 깊은데요. 호주 원주민 아낭구(Anangu)족은 울룰루 주변의 물웅덩이와 식생을 기반으로 정착했고 ‘드림타임(Dreamtime)’ 신화를 발전시켰습니다. 1985년 울룰루의 소유권은 원주민에게 반환됐으며, 현재는 호주 정부가 장기 임차해 국립공원으로 운영 중입니다.

김 박사는 “울룰루와 인근 카타추타(Kata Tjuta)는 단순한 관광지가 아니라 원주민의 정신이 깃든 성지”라며 “방문객들이 문화와 역사적 의미를 존중하며 자연을 체험하길 바란다”고 강조했습니다.

김대철 박사와 함께하는 알쓸호지, 상단의 재생 버튼을 누르시면 자세한 내용을 들으실 수 있습니다.

상단의 오디오를 재생하시면 전체 프로그램을 들으실 수 있습니다.
 호주 공영방송 SBS(Special Broadcasting Service) 한국어 프로그램의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팔로우하세요. 구글플레이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SBS Audio 앱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매일 방송되는 한국어 프로그램 전체 다시듣기를 선택하시려면 이곳을 클릭하세요. SBS 한국어 프로그램 팟캐스트는 여기에서 찾으실 수 있습니다.



Share
Follow SBS Korean

Download our apps
SBS Audio
SBS On Demand

Listen to our podcasts
Independent news and stories connecting you to life in Australia and Korean-speaking Australians.
Ease into the English language and Australian culture. We make learning English convenient, fun and practical.
Get the latest with our exclusive in-language podcasts on your favourite podcast apps.

Watch on SBS
Korean News

Korean News

Watch it onDem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