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The Fortress
- 김훈의 동명 소설을 원작, 황동혁 감독 연출의 블록버스터 사극
- 승리 대신 패배와 고통의 기억을 담아낸 이례적 전쟁 영화
- 류승룡·이병헌·김윤석·박해일 등 명품 배우들의 치열한 대립
- 나라의 존망 앞에서 드러나는 권력과 이상, 백성을 향한 책임의 무게
SBS의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 SBS On Demand에서 무료로 시청할 수 있는 다양한 영화를 만나보세요! 본문 속 파란색 밑줄로 표시된 영화 제목을 클릭하시면, 곧바로 해당 작품의 SBS On Demand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유화정 PD: SBS 온디맨드를 중심으로 다시 보면 좋을 영화들을 추천해 드리는 시간 시네챗. 오늘도 독일과 유럽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독립 영화 프로듀서 권미희 리포터 함께합니다. 오늘은 어떤 영화를 만나볼까요?
권미희 리포터: 오늘은 황동혁 감독의 2017년 영화 <남한산성 the fortress>남한산성>입니다. 병자호란 당시 삼전도의 굴욕 전 47일간 남한산성에서 일어나는 일을 다루는 영화입니다.
유화정 PD: 김훈 작가의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죠.
권미희 리포터: 네 그렇습니다.
유화정 PD: 특히 황동혁 감독, 전 세계적으로 K 문화 신드롬을 불러일으킨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의 황동혁 감독의 블록버스터 사극으로 널리 알렸는데요. 실제 역사적 사건, 그것도 조선시대 가장 참담한 사건이자 패배의 순간을 어떤 식으로 영상화했을지 기대도 컸고, 또 그만큼 큰 사랑도 받았던 영화였습니다. 영화의 줄거리 먼저 듣고 이야기 이어가죠.
권미희 리포터: 영화의 배경은 1636년 인조 14년 병자호란 시기입니다. 청의 대군이 공격함으로 임금과 조정 관료들은 강화도로 가지 못한 채 남한산성에 고립되는데요. 설경이 말해주듯 추위와 굶주림, 또 절대적으로 부족한 군사 상황 등으로 말 그대로 국가의 존립이 걸렸다고 할 만큼 큰 위기 상황에 처합니다.
Trailer Audio Clip

THE FORTRESS_Press Still Credit: younguk_jeon
유화정 PD: 네. 원작 소설에서도 알 수 있듯이 조선시대를 ‘신하의 나라’라고 일컫기도 하는 반증의 사례처럼 이야기는 점차 신하들의 이견 대립과 그 사이에서 결정 내리기 어려워하는 임금의 모습에 집중됐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권미희 리포터: 그렇습니다. 감독이 소설을 읽고 영화화를 결심했던 이유처럼 영화에서는 최명길과 김상헌이라는 두 신하의 신념과 설전에 주목합니다. 두 인물의 이견에 집중하며 당대의 시대상과 철학을 투영하는데요. 감독은 이 두 인물의 대립을 강조하되 그 ‘난’, 즉 전쟁 혹은 전투 상황을 묘사하는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서도 노력했다고 합니다. 어쨌든 이건 전쟁 이야기이기도 하고 그 사건 자체가 그냥 평면적이지 않았잖아요. 되게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런 것들을 좀 놓치지 않으려고 노력했었다고 합니다.
Trailer Audio Clip

The Fortress
권미희 리포터: 그렇습니다. 또 우리는 역사적 결과를 이미 알고 있잖아요. 그렇기 대문에 타 전쟁 영화나 히어로물과 같은 일종의 승리의 기쁨 혹은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하는 작품은 아니죠. 그렇지만 그런 가혹한 상황을 어둡고도 의미 있게 담아낸 영화제 않았나 싶습니다. 역사적 사건을 소설로, 또 영화로 창작하는 과정에서의 창작자의 상상과 사실의 만남이 아주 매력적으로 표현된 영화였습니다.
유화정 PD: 네, 말씀하신대로 이미 결과를 알고 있는 역사적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관객으로 하여금 그 긴박함과 선택의 무게를 함께 느끼게 하는 점이 인상적이지 않나 싶습니다. 승리의 기쁨 대신 패배의 기억을 담고 있지만, 또 그 속에서 우리는 오늘을 살아가는 의미와 선택의 무게를 다시 생각해 보게 됩니다.
Trailer Audio Clip
오늘 만나본 <남한산성 The fortress>. 역사와 인간의 이야기를 함께 만나는 특별한 시간이었습니다. 권미희 리포터 오늘도 특별한 콘텐츠 소개 수고 많으셨습니다.
권미희 리포터: 네, 또 흥미롭고 유익한 영화들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상단의 오디오를 재생하시면 팟캐스트를 들으실 수 있습니다.
호주 공영방송 SBS(Special Broadcasting Service) 한국어 프로그램의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팔로우하세요. 구글플레이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SBS Audio 앱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